대규모 산림복원지 드론 정사영상 및 라이다 촬영
페이지 정보

본문
촬영환경: - 진입로가 없어서 접근하려면 도보 1시간 예상
- 많은 장비를 들고 현장 이동이 불가
- 비행영역과 촬영 베이스는 1.2km 거리
- 1.2km 거리에서 드론 및 라이다 촬영 진행
(매우 위험- 정밀한 분석 필요)
(고정익 드론 촬영)

요청 받은 대상지 범위( 1.2km 거리에 현장 위치)
정밀한 고도 분석 필요
정밀한 고도 분석 필요
고정익 드론 촬영
4200만 화소 RGB카메라 투입
4200만 화소 RGB카메라 투입
라이다 촬영
M300 RTK + 라이다(Mapper plus+) 투입
하늘숲엔지니어링 자체 개발 비행 앱
FIS DRONE 사용 비행계획(고도 비행 80m 설정)
1.2km 떨어진 대상지를 안전하게 비행 완료
산을 2개 넘어서 비행(시작 지점까지 고도 분석을 통하여 안전하게 비행하는 기술 지원)
FIS DRONE 사용 비행계획(고도 비행 80m 설정)
1.2km 떨어진 대상지를 안전하게 비행 완료
산을 2개 넘어서 비행(시작 지점까지 고도 분석을 통하여 안전하게 비행하는 기술 지원)
최종적으로 등고선 작업 완료(등고간격 0.5m 납품)
활용 가능 분야:
임도 / 산사태 / 산림복원 / 산지복구 / 채석장 / 골프장 / 도로설계 / 휴양림 및 산림토목 시설지 / 등산로 등 Z값(고도)이 필요한 사업 대상지에 대하여
정밀하게 등고선 및 정사영상을 제공해드립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제공하는 파일 형식:
TIFF / ECW / DXF / SHP 등
추가 요청시 표고 / 경사등도 제공 가능
활용 가능 분야:
임도 / 산사태 / 산림복원 / 산지복구 / 채석장 / 골프장 / 도로설계 / 휴양림 및 산림토목 시설지 / 등산로 등 Z값(고도)이 필요한 사업 대상지에 대하여
정밀하게 등고선 및 정사영상을 제공해드립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제공하는 파일 형식:
TIFF / ECW / DXF / SHP 등
추가 요청시 표고 / 경사등도 제공 가능
- 이전글선도산림경영단지 정사영상 촬영 및 분석 해드립니다 22.11.18
- 다음글7월 5일(화요일) 부터 산지전용통합정보시스템으로 민원서류 접수가 전국적으로 전면 시행됩니다^^ 22.07.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